neighborhood-main

번역출판

출판사:커뮤니케이션북스

작업기간: 2012년6월~2013년3월

출판:2013년4월

 

역자서문

19세기 후반, 영국 런던에서는 자본주의의 모순이 나타나고 이에 따른 여러 가지 사회문제 특히 주거 환경과 관련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당시 하워드Ebenezer Howard는 대도시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새로운 주거 환경 개발에 주목하게 되고, 1898년 출판된 「내일의 전원도시Garden Cities of Tomorrow」로 도시에 대한 자신의 사상을 피력하였다. 이후 전원도시 운동은 미국으로 전파되어 미국의 도시계획이나 주택지 계획 사조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 중 하나는 멈포드Lewis Mumford, 스테인Clarence Stein, 라이트Henry Wright를 중심으로 하는 건축가 집단인 The Regional Planning Association of America이고 다른 하나는 연구기관인 The Regional Plan of New York이다. 근린주구론은 The Regional Plan of New York이 1929년 출판한 「REGIONAL SURVEY OF NEW YORK AND ITS ENVIRONS Ⅶ」의 일부이다.

페리는 미국 출신의 도시계획가, 사회학자, 교육자로서 그가 제창한 근린주구 이론은 1928년 스테인과 라이트에 의해 계획된 미국 뉴저지주의 래드번Radburn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었다. 래드번은 통과교통을 배제하기 위해서 슈퍼블록으로 계획되었으며, 쿨데삭Cul-De-Sac시스템을 이용하여 보행로와 차도를 분리하였다. 또한 공공 오픈 스페이스를 충분히 배치하여 풍요로운 여가 공간을 계획하였다. 이는 당시로서는 혁명적인 배치계획으로 전 세계의 뉴타운 개발이나 주택지계획에 반영되면서 그 진가를 인정받게 되었고, 이후 여러 도시계획 사조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60~1970년대 주택 건설의 제도적, 법률적인 기틀이 마련되고 이후 민간 업체의 참여가 시작되어 아파트 단지의 보급이 본격화되었는데, 이 때 근린주구론이 단지계획의 중심이론으로 확립되었다.

반대로 근린주구론은 많은 사람들의 비평 대상이기도 하였다. 대표적으로 아이작스, 듀이, 제이콥스를 들 수 있다. 근린주구론은 자급자족의 폐쇄적인 커뮤니티를 의도하고 있다는 점, 사회적인 관점을 배제하고 물리적인 관점만을 고려한 단위라는 점, 계층 그리고 인종차별을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었다. 특히, 제이콥스는 동적이어야 하는 도시 커뮤니티에 적용하기에는 불합리하다는 점과 행정의 권력에 대항하기에는 인구가 적다는 점(제인 제이콥스는 약 10만을 적절하다고 주장)을 들어 근린주구론을 통렬하게 비판하였다.

이들의 주장은 매우 합리적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더 큰 교훈을 주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이러한 비평에도 불구하고 근린주구론이 아직까지 도시/단지설계의 기본으로 생각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근린주구론은 우리에게 도시/건축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너무나 오래된 개념임에 분명하다. 당시로는 혁신적이었던 배치계획이나 기법은 현재 우리에게 있어서 너무나 일반적일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이제 성장의 시대를 넘어 성숙의 시대로 전환될 것이다. 따라서 지금의 도시나 주구가 보이는 모습과는 다른 형태를 위한 계획이 필요하게 되리라 생각한다. 이 전환기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우리가 거주하고 있는 도시구조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 이에 큰 영향을 미친 이론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미래의 도시에 대한 패러다임을 정립하는 것이다. 전술한 것처럼 우리나라 역시 근린주구론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페리의 근린주구론은 현재 우리 도시가 내포하고 있는 많은 문제점과 함께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훌륭한 실마리를 제공하리라 믿는다.

또한, 근린주구론의 근저를 살펴보면 도시 및 주택지 계획의 기본이 되는 매우 원론적인 내용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택, 인구, 상점, 안전, 여가 등 이러한 요소들은 도시 및 주택지 계획에 불변적인 요소이다. 페리의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현재의 도시를 계획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단언할 수 있지만, 그가 도시 및 주택지 계획에 있어서 불변 요소들을 어떠한 방식으로 분석하고 서로간의 관련성을 구축하여 근린주구론을 주장하게 된 과정에 대한 지식은, 앞으로 새로운 도시 패러다임을 만들어 나가야 하는 우리에게 있어서는 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