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바쇼의 정의

일본에서는 초고령사회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이바쇼(居場所)가 자주 등장한다. 이바쇼의 한자표기는 居(살 거), 場(마당 장), 所(바 소)로 이는 일본어로 “있는 곳”, “장소” 등 물리적인 장소를 의미한다. 현재는 물리적인 장소의 의미보다는 심리적, 사회적 의미를 포함한 개념으로 보다 널리 사용되고 있다. 1992년 일본 문부과학성의 등교거부학생에 대한 보고서에서 학교는 학생의 마음의 이바쇼의 역할을 해야한다는 문헌이후로 이바쇼의 현재 의미가 보편화 되기 시작되었다. 다음은 각계에서 사용되는 이바쇼의 정의이다.

이바쇼는 명확한 목적이나 기능을 가진 장소라기보다는, 마을에 아무렇지 않은듯 존재하는 장소이다. 여러 사람이 다양한 이유로 모이는 장소이지만, 생활에 필수적인 장소는 아니고 또한 생활의 중심이 되는 장소도 아니다. 누구라도 맘편히 들를 수 있고, 제각각 시간을 보내는 것이 가능한 운영, 공간설정이 되어 있는 장소이다.
(일본건축학회, “마을의 이바쇼 – 마을의 이바쇼를 찾다.만들다”,  2010)

마음이 안정되는 (물리적) 장소
(스즈키, 나카노: “학교 공간과 마음의 이바쇼”, 후쿠시마대학교교육실천연구기요 2000, 제 39호 55-62)

자기의 본래의 모습이 받아들여지는 것을 느낄 수 있는 장소
(히로이, “이바쇼의 고나점으로의 비행사례이해” 심리임상학연구 18, 129-138)

아무런 걱정을 할필요도, 좋은 사람인척할 필요도 없고, 깊은 안도감에 자신 그대로의 존재가 인정되는 장소.(1998, 사토)

자신을 신경써주는 사람이 있는 장소이며, 자신 본래의 모습이 받아들여지는 장소.
(2005 노자와)

자신을 필요로 하고 있는 직장, 자신이 없으면 팀의 힘이 충분히 발취되지 않는 포지션도 이바쇼이다.
(후지타케 2000)

사회적이바쇼/ 자신이 소속하는 집단의 일원으로서 능력을 발휘하고 인정받고 있는 경우
(토미나가 2003)

 

위의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이바쇼는 매우 광범위한 개념이며 물리적인 장소뿐만 아니라, 사람에 따라서는 직장도 이바쇼가 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인터넷 공간도 이바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초고령사회에 있어서 이바쇼의 중요성

이러한 이바쇼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초고령사회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하나의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1. 사회적 고립의 방지
    단신고령자, 가족과 빈번히 교류할 수 없는 고령자, 지역 커뮤니티에 속하지 못하는 고령자 등 사회적으로 고립된 고령자의 경우, 일상적인 대화나 타인과의 교류가 없어 삶의 의미와 안정을 상실할 가능성이 크다. 이바쇼는 이러한 고독감을 완화하고 타인과 연결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2. 심신의 건강유지
    사회적 교류와 활동은 고령자의 심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바쇼를 통한 타인과의 교류는 우울감이나 스트레스가 감소시킨다. 또한, 이바쇼가 있음으로 인해 외출의 기회가 증가하여 급격한 노쇄를 방지할 수 있고, 취미 활동이나 지역 커뮤니티 참여는 인지 기능 유지와 향상에 기여하며 치매 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3. 삶의 목적의 창출
    이바쇼는 고령자가 자신의 특기나 취미를 살리면서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이를 통해 삶의 의미와 사회 참여 의욕이 높아지며, 자신의 가치를 재확인할 수 있다. 특히 지역 사회에서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에는, 자기 실현감을 얻을 수도 있다.
  4. 고독사 방지
    고립된 상태의 고령자는 고립사의 위험이 높아진다. 또한,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사기 등에 노출될 위험도 커진다. 이바쇼를 통해 지역 사람들과의 교류가 증가하면, 예상치 못한 사고, 상황에 대한 대응력도 향상된다. 이바쇼를 통한 인적 네트워크의 증가는 고령자에게 안도감을 제공하며, 안전한 생활 환경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고령자에 있어서 이바쇼는 단순한 물리적 공간이 아닌, 심리적 안정감이나 사회적인 연결을 제공하는 중요한 존재이다. 이는 고령기의 행복감을 유지하는 기반으로, 건강하고 풍요로운 노후생활을 실현하기 위해 불가결한 요소이다. 초고령사회를 맞이하는 우리나라에 있어서도 이 같은 장소는 더욱 필요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