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사회] 카제노오카, Aging in Place를 위한 지역 복지시스템 구축 사례

[고령사회] 카제노오카, Aging in Place를 위한 지역 복지시스템 구축 사례

가나가와현 아츠기시와 이세하라시의 경계를 가로질러 위치하는 아이코하라 주택단지. 약 900호의 단독주택으로 이루어진 이 주택지는 1967년 국가공무원을 위해 조성되었다. 고도성장기에 분양된 다른 주택지와 마찬가지로 아이코하라주택의 고령화는 매우 빨리 진행되었고, 1998년 이미 30%를 넘어섰다(당시 일본의 고령화율은 약 14.6%). 고령화로 인한 지역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리고 Aging in Place를 위해 주민들은 자신의 힘으로 지역 복지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에리어리노베이션] 오야마다사쿠라다이 단지(커뮤니티스페이스, 어린이식당 등)

[에리어리노베이션] 오야마다사쿠라다이 단지(커뮤니티스페이스, 어린이식당 등)

출처: google earth   오야마다사쿠라다이 단지는 1979년 건설된 UR단지이다. 면적은 약 47ha로, 1,627호의 분양주택 및 임대주택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역에 공원, 녹지 등 자연이 풍부하여 공원단지로도 불리고 있다. 조성으로 부터 38년이 지난 현재는, 지역의 고령화가 문제가 되고 있으며, 2022년 현재 주민의 고령화율은 48%에 달한다. 고령화로 인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오야마다사쿠라다이단지 주민들은 커뮤니티 스페이스 운영을 비롯한 여러...
[플레이스메이킹, 단지재생] 마츠가야커뮤니티플레이스 “마츠마루”

[플레이스메이킹, 단지재생] 마츠가야커뮤니티플레이스 “마츠마루”

마츠마루는 일본 타마뉴타운에 위치한 마츠가야 단지에 위치한 커뮤니티 플레이스이다. 저출산, 고령화가 진행중인 타마뉴타운 지역 주민들이 만들어낸 공생형 교류공간이다. 마츠가야 단지의 상점가에 위치한 약 10년간 비어있던 슈퍼마켓 건물을 활용해 탄생하였다. 이름은 ‘마츠가야(松が谷)’와 ‘모이다(集まる)’를 결합해 ‘마츠마루’라고 지었으며, 다양한 세대와 문화가 어우러져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슈퍼마켓으로 사용되던 하나의 큰 공간을 작은 구획으로...
유니트케어

유니트케어

유료노인홈 유닛케어의 공용공간     유닛케어는 일본의 복지시설이나 고령자주택에서 사용되는 소규모 그룹 중심의 돌봄 시스템이다. 예전의 대규모 다인실 중심 돌봄 방식에서 벗어나, 시설 전체를 복수의 유닛(소규모 그룹)으로 나눠, 유닛을 당당하는 전임스탭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이다. 가정과 유사한 환경에서 소수 인원으로 구성된 생활 단위를 구성하여 보다 좋은 고령자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림 고령자...
이바쇼

이바쇼

이바쇼의 정의 일본에서는 초고령사회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이바쇼(居場所)가 자주 등장한다. 이바쇼의 한자표기는 居(살 거), 場(마당 장), 所(바 소)로 이는 일본어로 “있는 곳”, “장소” 등 물리적인 장소를 의미한다. 현재는 물리적인 장소의 의미보다는 심리적, 사회적 의미를 포함한 개념으로 보다 널리 사용되고 있다. 1992년 일본 문부과학성의 등교거부학생에 대한 보고서에서 학교는 학생의 마음의 이바쇼의 역할을...
일본의 빈집문제4: 일본의 빈집은행, 전국판 빈집은행

일본의 빈집문제4: 일본의 빈집은행, 전국판 빈집은행

빈집은행이란 빈집은행은 사용되지 않는 주택이나 토지 정보를 인터넷에 공개하여, 주택이나 토지를 찾는 사람들과 매칭하는 시스템으로, 일본에서는 1990년대 과소화가 진행된 지방 자치단체가 인터넷을 통해 빈집 정보를 제공한데서 유래하였다. 2021년 현재 빈집은행은 일본 지자체 1788개 중 약 7할인 1261 지자체에서 운영하고 있다. 빈집은행은 기본적으로 소유자가 빈집을 등록하는 시스템으로, 등록시에 소유자의 정보활용 동의를 서면으로 제공받는다. 빈집은행 초기에는 매칭이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