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리어리노베이션] 오야마다사쿠라다이 단지(커뮤니티스페이스, 어린이식당 등)

[에리어리노베이션] 오야마다사쿠라다이 단지(커뮤니티스페이스, 어린이식당 등)

출처: google earth   오야마다사쿠라다이 단지는 1979년 건설된 UR단지이다. 면적은 약 47ha로, 1,627호의 분양주택 및 임대주택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역에 공원, 녹지 등 자연이 풍부하여 공원단지로도 불리고 있다. 조성으로 부터 38년이 지난 현재는, 지역의 고령화가 문제가 되고 있으며, 2022년 현재 주민의 고령화율은 48%에 달한다. 고령화로 인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오야마다사쿠라다이단지 주민들은 커뮤니티 스페이스 운영을 비롯한 여러...
[플레이스메이킹, 단지재생] 마츠가야커뮤니티플레이스 “마츠마루”

[플레이스메이킹, 단지재생] 마츠가야커뮤니티플레이스 “마츠마루”

마츠마루는 일본 타마뉴타운에 위치한 마츠가야 단지에 위치한 커뮤니티 플레이스이다. 저출산, 고령화가 진행중인 타마뉴타운 지역 주민들이 만들어낸 공생형 교류공간이다. 마츠가야 단지의 상점가에 위치한 약 10년간 비어있던 슈퍼마켓 건물을 활용해 탄생하였다. 이름은 ‘마츠가야(松が谷)’와 ‘모이다(集まる)’를 결합해 ‘마츠마루’라고 지었으며, 다양한 세대와 문화가 어우러져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슈퍼마켓으로 사용되던 하나의 큰 공간을 작은 구획으로...
[고령사회, 용어설명] Aging in Place

[고령사회, 용어설명] Aging in Place

Aging in Place의 정의 고령자의 주거에 대한 해법의 하나로 Aging in Place가 많이 거론된다. AIP(Aging in Place)에 대해 명확히 합의된 정의는 존재하지 않지만(사회, 커뮤니티 등이 주요하게 생각하는 개념이 조금씩 상이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고령자가 지금까지 살아온 자신의 집, 지역, 커뮤니티에서 자립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것” 혹은 이를 이루기 위한 정책 서비스 정도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
[고령자시설, 용어설명] 유료노인홈

[고령자시설, 용어설명] 유료노인홈

도심의 유료노인홈 도쿄 교외에 위치한 유료노인홈   일본에는 매우 다양한 고령자 주택 및 시설이 존재한다. 고령자 주택 및 시설은 1929년 제정된 구호법이 그 기원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 후 사회적 정세를 고려하여 수 많은 시설이 생겨났고 통합되어 왔다. 이 중 유료노인홈은 1963년 민간에 의해서 제도권 밖에서 발생하였는데 60년이 지난 현재는 약 60만명 이상이 이용하는 고령자 주택으로 그 위치를 확고히 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일본 유료노인홈에 대해서 정의,...
[고령사회, 지역공생 건축사례] 카스가다이 센터센터

[고령사회, 지역공생 건축사례] 카스가다이 센터센터

카스가다이 센터센터는 가나가와현 아이카와정에 위치한 지역 공생 문화 거점이다. 지역의 고령화로 인하여 중심상점가에 있던 슈퍼마켓이 폐점하는 등 마을의 중심적인 기능이 상실되어 구매난민, 마을의 활기 저하 등의 문제를 겪고 있었다. 카스가다이 센터센터는 지역의 중심적인 장소에 다시 한 번 활기를 불어넣기 위한 컨셉으로 기획되었다. 폐점한 슈퍼마켓의 이름이 “카스가다이 센터”였기 때문에, 다시 한번 지역의 중심이 되리라는 의미를 담아 “카스가다이...